디지털콘텐츠융합스쿨 교과목 소개
구분 | 교과목명 | 소개 |
---|---|---|
공통과목 | 디지털콘텐츠 연구방법론 1 | 재난위기 극복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개발과 활용을 위한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기초적인 연구방법론을 학습한다. |
디지털콘텐츠 연구방법론 2 | 디지털콘텐츠의 연구에 사용되는 심화된 통계적 연구방법론을 다룬다. 학생들은 산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, 분석하며, 해석하는 다변량 통계적인 이론에 대해 학습한다. | |
디지털콘텐츠와 인터랙션디자인 | 디지털콘텐츠의 주요 발전 방향과 그에 따른 인터랙션디자인 적용 사례의 변천사를 학습한다. | |
선택과목 | Human-Computer Interaction | 디지털콘텐츠 분야의 연구수행에 있어 필수적인 이론, 프레임워크 등에 대해 탐구한다. |
기후재난커뮤니케이션 프랙티컴 | 사회적 재난문제에 속하는 기후변화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한 디지털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, 실행, 평가하는 이론-제작 프로젝트를 수행한다. | |
Research Methods for Digital Contents |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s and principles of quantitative analysis techniques essential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. | |
Digital Culture |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graduate students with an in-depth knowledge of digital culture. | |
Disaster Crisis & International Communication | This course provides an excellent basis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hallenges for disaster crisis communication in an international context. | |
Statistical Analysis of Media Sources | This course is focused on social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echniques applied to modern online media. | |
Programming and Society | This course is focused on advanced software development skills applied to problems in society and the goal is to develop real software solutions to identified problems. | |
감염병예방 네트워크 프랙티컴 | 사회적 재난문제에 속한 감염병을 다학제적 관점에서 해결하기 위해 교육연구단과 지역협력체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감염병예방 네트워크를 구축한다. | |
재난위기와 커뮤니케이션 | 재난위기 관련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이론과 전략에 대해 체계적으로 탐구하고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| |
선택과목 | 재난위기 일인미디어 기획제작 | 교과목은 학생 개개인이 직접 주체가 되어 재난위기 상황의 해소를 위한 영상콘텐츠의 기획 및 제작을 하는 실질적 역량을 갖추는데 그 목표를 둔다. |
재난위기와 가상현실콘텐츠(VR) | 교과목은 재난위기관리 및 대처를 목적으로 하는 가상현실콘텐츠를 제작하며 가상공간에서의 실재감(presence)의 개념 및 이론을 습득하는 수업이다. | |
건강게임 콘텐츠 제작 | 교과목은 개인의 건강관리와 증진을 위한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헬스케어 관련 게임콘텐츠를 직접 기획 및 제작한다. | |
모바일 콘텐츠 디자인과 설계 | 재난위기 및 사회적 문제의 현상 등에 대하여 모바일 콘텐츠의 본질과 이미지 등을 합리적인 방법으로 시각화하고 종합적인 설계를 배우는 학문이다. | |
게임 프로그래밍과 개발 | 게임기획을 프로그램으로 구현시키고 그래픽 디자이너의 그림들을 움직이게 하는 게임프로그래밍의 전문 기법을 익혀 게임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| |
재난위기와 인공지능콘텐츠 | 교과목은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초적인 개념과 이론 및 관련 콘텐츠를 소개하며, 현재 재난위기와 관련성 있는 인공지능 연구 동향과 응용 분야에 대해 학습한다. | |
인터랙션과 재난위기 시뮬레이션 | 교과목은 재난위기 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또는 소프트웨어 시연을 활용 및 제어, 운용하여 연구 및 가상실험 등의 학습활동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| |
가상현실 디자인 워크샵 | 디자인 분야 중 Immersive Design을 어떤 식으로 상품과 서비스에 스며들게 하고 사회의 변화, 중요하게 부각되는 이슈를 적절하게 분석하여 디자인화 하도록 한다. | |
선택과목 | 뉴미디어 정책과 법제론 | 디지털콘텐츠 분야의 연구수행에 있어 필수적인 이론, 프레임워크 등에 대해 탐구한다. |
환경건강 저널리즘 | 환경건강 뉴스와 정보의 전달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의 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본다. | |
재난위기와 소셜미디어 | 소셜미디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재난 위기 관련 정보들을 분석하고 이해한다. | |
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연구 | 인터랙티브 미디어와 콘텐츠 연구에 필요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창작 이론을 학습한다. | |
학습과 협업테크놀로지 | 디지털콘텐츠가 접목된 학습과 협동/협업 분야의 다양한 테크놀로지와 디자인을 학습한다. | |
헬스케어와 뉴미디어 | 뉴미디어 수용과 활용을 헬스이슈와 이와 관련된 사회적 재난위기 측면에서 이론적으로 분석, 탐구한다. | |
재난과 심리서비스 | 재난과 관련된 심리 요인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심리서비스 및 관련 디지털 기기에 대한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을 강의한다. | |
디지털 설득테크놀로지 | 디지털화된 미디어나 컴퓨터 시스템에 담긴 설득테크놀로지의 유형과 사용 양식을 학습한다. | |
선택과목 | 인터랙션 데이터 다변량 분석 평가 | 인터랙션 데이터를 다변량 통계학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. |
재난위기 빅데이터 분석 평가 | 재난 위기와 관련된 빅데이터를 분석할 줄 아는 인사이트를 조성한다. | |
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|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경험의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그 품질을 높이는 인터페이스 설계를 연구한다. | |
재난위기 서비스디자인 | 재난위기현상의 특성과 사례를 분석하고 재난위기관리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분석하고 이해한다. | |
디지털콘텐츠 사용자연구 | 창의적 디지털콘텐츠의 디자인과정에서 프로토타입의 개발 및 평가되는 과정을 학습한다. | |
디지털콘텐츠와 데이터 사이언스 | 인터랙션 디자인을 내포하는 디지털콘텐츠의 문제점을 데이터 과학적인 접근법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연구를 수행한다. | |
인터랙션디자인과 인지과학 | 인지과학을 재난 분야에 접목하여 재난위기의 예방과 문제 해결에 대한 효과적인 소통 방법을 학습한다. | |
사용성테스트 설계와 방법 평가 | 사용성테스트에 대한 이론적, 실무적 이해를 방탕으로 제품에 대한 기획을 한다.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