디지털콘텐츠융합스쿨 교육연구단 목표

교육연구단의 비전
사회적 재난위기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설득적 디지털콘텐츠를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공익형, 인간중심형, 사회참여형, 글로벌 융복합 인재 양성

<목표 1> 공익 인재양성 (Public Responsibility)
- 재난위기의 사회적 책임의식 함양을 위한 교육
- 지역기반 NGO와의 공동 캠페인 개최를 통한 사회적 정체성 확립, 현장활동 기회 제공, 사회적 아젠다 동향지 발간
- 사회적 정체성(social identity) 함양을 위한 교육
- 사회적 문제해결 리더로서의 환경과 공동체 건강 증진을 위한 행동 계획 및 수행
- 지역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회적 문제해결 교육
- <맑은공기 네트워크>와 <감염병예방 네트워크>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재난위기 연구 및 교육 네트워크의 디지털콘텐츠를 활용해 지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회적 행위자 역할 담당
- 설득테크놀로지(persuasive technology) 활용 교육
- 디지털 설득콘텐츠를 제작·활용할 수 있는 실무중심의 커리큘럼
<목표 2> 인간중심 인재양성 (Human-Centered)
- 인간중심 가치관 정립을 위한 다학제적 관점의 교육
- 디지털콘텐츠, 헬스커뮤니케이션, 경영학, 인지심리학, 영상학, 광고홍보학, 사이버 보안학, 환경저널리즘학 등 전문 교수진 및 해외 공동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교육 인프라 조성, 사회적 재난위기 문제해결에 선도적 혁신 수행
- 인간중심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실무중심 교육
- 인간의 다양한 인식·태도·행동 등을 고려한 인간중심의 전문화된 스킬을 활용하고 적용할 수 있는 체계적 교육
- 인터랙션디자인 씽킹 기반 인간중심 교육
- 트랙화된 융합교육과정 제공을 통한 디자인 씽킹 기반의 재난위기 디지털콘텐츠 개발, 지역공동체 실험연구 수행
<목표 3> 사회참여 인재양성 (Civic Engagement)
-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디지털콘텐츠 기술혁신
- 자발적 시민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게이미피케이션 교육 실시
- 사회적 참여에 취약한 계층을 위한 재난위기 커뮤니케이션 체계 구축
-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지역 특화형 캠페인 및 재난위기 심포지엄, 뉴스레터 발간 등을 추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
- 전문화된 디지털콘텐츠 교육과 연구를 통해 다각적인 혁신전략을 모색는 사회참여형 실무인력 양성 및 교육
- 사회적 재난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 거버넌스 구축
- 지역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대학원생 중심의 리빙랩(Living Lab) 프로젝트 추진
-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재난위기 대응연구 및 교육 시스템 구조화
<목표 4> 글로벌혁신 인재양성 (Global Education)
- 국제화된 교육 커리큘럼을 통한 세계적 문제 해결역량을 갖춘 인재양성
- 글로벌 재난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이문화 의사소통능력(Inter-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) 강화 교육
- 융합 패러다임 형성에 기여할 체계적인 글로벌 인재양성 교과과정의 확립
- 경쟁력 있는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과 영어 및 제2외국어 교육
- 해외 유학생들과 함께 수강할 수 있는 핵심적인 디지털콘텐츠 분야 교과목 개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