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회적 재난위기 문제해결을 위한 PHCG 혁신인재양성 교육과정
1. 공익인재양성(Public Responsibility) 교육 계획
- NGO 공동 캠페인 교육 운영
- 무빙 랩(Moving Lab) 운영
- 재난 커뮤니케이션 특화 교과목 개설
- 재난 저널 발간
2. 인간중심 인재양성(Human-Centered) 교육 계획
- 창의적인 재난대응을 위한 융복합 교육 실시
- 학제 간 협업을 통한 융합교육 프로그램
- HCI 디자인 씽킹에 중점을 둔 인간중심 교육
3. 사회참여 인재양성(Civic Engagement) 교육 계획
- 재난대응을 위한 프랙티컴 교과목 개설(맑은공기 네트워크 / 감염병예방 네트워크)
- 재난안전 소셜 리빙랩(Living Lab) 프로젝트 실시
- 지역공동체 재난 훈련 프로그램 운영
4. 글로벌 인재양성(Global Education) 교육 계획
- 영어 공통전공 과목 개설
-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영어교육 프로그램 제공
- 국제적 네트워크를 활용한 프로젝트 중심(협업 중심)의 수업 진행
-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토론식 영어 수업 진행
디지털사회혁신을 주도하는 ‘융복합 인재’ 양성 전공 교육과정
1. 콘텐츠디자인 전공 (Major in Contents)
- 디지털미디어 콘텐츠의 공통이론 학습
- 재난위기 디지털 스토리텔링
- 사회전반 문제에 디지털콘텐츠를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 전문제작 인력 양성 목표
2. 인터랙션디자인 전공 (Major in Interaction)
- 사회적 재난위기문제에 대한 다학제적 관점의 교육
- 사람과 사람, 사람과 기술 간의 상호작용성을 기획·설계·연구할 수 있는 수업
- HCI 디자인 씽킹에 중점을 둔 인간중심 교육
전공내 트랙 맞춤형 커리큘럼 구성
1. 디지털콘텐츠 개발트랙 (D트랙)
- 감염병·미세먼지와 같은 사회적 재난위기 문제와 관련된 디지털콘텐츠 제작·개발
- 컴퓨터 프로그래밍/그래픽 기술/콘텐츠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참여교수진을 중심으로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반의 다양한 콘텐츠를 창작·개발·제작 교육
- 디지털콘텐츠의 인터랙션디자인 기획 및 제작을 위한 제작실무 환경제공
2. 디지털콘텐츠 실천트랙 (P트랙)
- 디지털콘텐츠 교육 및 연구클러스터를 통해 지역사회와의 사회적 재난위기협력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실천트랙
- 인터랙션디자인 개념과 이론교육을 통해 사람-사물-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·학습
- <맑은공기 네트워크 프랙티컴>, <감염병예방 네트워크 프랙티컴>을 통한 지역 특화형 캠페인 교육 및 사회참여형 교육 프로그램 진행